카테고리 없음
2025년부터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의 소득기준이 변경
티스또리뉴스
2025. 1. 1. 12:29
2025년부터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의 소득기준이 변경되면서 약 736만 명의 어르신들이 기초연금을 수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의 기초연금 기준은 노인 1인 가구 기준 월 소득 228만원, 부부 가구 기준 364.8만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7% 상승한 금액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 이 변화는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
1. 기준액의 상승
1인 가구: 월 소득 기준 228만원은 2024년 대비 15만원(7%) 증가한 수치입니다.
부부 가구: 월 소득 기준 364.8만원은 2024년 대비 24만원(7%)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인상은 65세 이상의 근로소득 증가와 공적연금의 소득 증가율에 기초한 것으로, 노인들의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특히, 고령 사회에서 노인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반영된 것입니다.
2. 소득 인정액
기초연금은 소득 인정액에 따라 지급되는데, 이 금액은 근로소득, 연금소득, 일반재산 및 금융재산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그동안 소득 인정액을 계산하는 방식에서 일부 자산가치(예: 건물, 토지)의 감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과 비교하여 소득 기준은 상승했지만, 자산의 가치 하락으로 일부 가구는 기초연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3. 기초연금 수급 확대
정부는 기초연금 수급 대상을 계속해서 확대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 인정액을 산정할 때 동거가족 외에도 비동거 직계존속(부모나 자녀 등)도 교육비 및 의료비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급 자격을 보다 많은 노인들에게 부여하려는 목적입니다.
4. 수급 희망 이력 관리제
기초연금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노인들이 다시 수급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력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려는 계획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보다 많은 노인들이 기초연금을 수령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로, 신청 이력은 5년 동안 관리되며, 수급 여부와 관계없이 노인의 신청 기록이 추적될 것입니다.
5. 예산 확대
기초연금 관련 예산은 2014년 6조 9천억원에서 2025년 약 26조 1천억원으로 3.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경제적 지원을 더욱 강화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6. 기타 지원
가정폭력 피해자 등의 특수 상황에 놓인 노인들에 대해서도 기초연금 수급 지원이 강화됩니다. 이들은 경찰이나 관련 기관의 증명서로 사실상 이혼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되어, 그들의 복지 또한 개선될 전망입니다.
전문적 분석: 경제적 관점에서
경제적 부담 증가: 기초연금의 수급자는 2014년 435만 명에서 2025년 736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관련 예산은 대폭 확대됩니다. 이는 정부의 재정에 상당한 부담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고령화 사회에서 중요한 경제적 안정망 역할을 하게 됩니다.
소득 불평등 해소: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70%를 대상으로 하므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인 노인들의 생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득 인정액 산정에서 자산 가치가 일부 반영되어 기초연금 수급자 범위가 보다 넓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회적 파급효과: 기초연금 지급 확대는 고령층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초연금 수급자는 주로 소비가 필요한 계층이므로, 이들의 경제적 안정이 국가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초연금의 확대는 고령 사회의 중요한 경제적 대응책으로, 소득 불평등 해소와 고령층의 생활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