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원·달러 환율이 급등

티스또리뉴스 2025. 1. 4. 17:42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단기적으로 1500원까지 돌파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입니다.

1. 환율 상승의 원인

트럼프의 영향: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은 원·달러 환율 급등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트럼프가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내세우며 보편관세 부과를 공약으로 내걸었고, 이는 미국 물가를 자극하여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긴 시간 동안 금리를 높게 유지할 가능성이 커졌고, 이는 달러 강세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정치적 혼란이 원화 가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원화 자산에서 자금을 철수했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급등했습니다. 2024년 12월 3일에는 원·달러 환율이 1470원대를 넘었고, 이는 2009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2. 전문가의 예측

단기적 전망: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단기적으로 1500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금리 인상 지속 가능성, 트럼프의 대선 공약, 그리고 한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 등 여러 외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서정훈 하나은행 연구위원은 2025년 1월까지 1490원까지 오르고, 단기적으로 1500원을 돌파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습니다.

중장기적 전망: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더라도,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이하로 하락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산업 경쟁력이 중국에 밀리고, 국내 경제의 저성장이 장기적으로 환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 때문입니다. 이낙원 농협은행 FX전문위원은 2025년 하반기에도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머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3. 구조적 문제

대중 무역수지 적자: 한국은 2023년에 대중 무역수지가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이는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중국에 밀리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합니다. 이 문제는 구조적으로 해결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이 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경제 성장 둔화: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1%대에 머물 것으로 보이며, 이는 환율에 미치는 영향도 큽니다. 저성장이 지속되면 원화가 약세를 보일 수밖에 없고,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을 지속시킬 것입니다.


4. 정치적 불확실성과 환율

탄핵과 정치적 방향성: 원·달러 환율이 안정되기 위한 중요한 모멘텀은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원화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지만, 반대로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면 국가 신용도 강등 우려로 인해 환율이 더욱 상승할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탄핵이 인용되거나 부결되면, 그에 따른 정치적 방향성이 명확해지기 때문에 원화 강세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치적 혼란이 커질 경우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한국의 국가신용도를 강등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환율은 1500원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습니다.


5. 종합적인 결론

단기적으로 1500원 돌파 가능성: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단기적으로 1500원 돌파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이는 외부 요인(미국 금리, 트럼프 정책 등)과 내부 요인(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구조적 약세 지속: 원화가 구조적으로 약세를 보일 가능성도 큽니다. 한국의 산업경쟁력이 중국에 밀리고, 경제 성장률이 저조한 가운데, 정치적 혼란이 장기화될 경우 환율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원·달러 환율은 1500원 돌파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중장기적으로도 구조적 약세로 인해 1400원대 이하로 떨어지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